노련뉴스(News)

언론의 동향

  • HOME
  • 노련뉴스(News)
  • 언론의 동향
[머니s]"아프면 서울로"… 지방의료원 의사 15% 부족

김민정 │ 2023-03-13

뉴스.jpg

HIT

729

"아프면 서울로"… 지방의료원 의사 15% 부족

지용준 기자입력 2023. 3. 12. 06:43
[머니S리포트-무너지는 의료체계②] 연봉 4억 제시했지만… 지방 취업 꺼리는 의사들

[편집자주]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데 가장 중요한 의사가 부족하다고 아우성이다. 전문의들이 지원을 꺼리는 지방의 의료 현실은 심각하다. 서울의 주요 대학병원들도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를 구하지 못해 난리다. 지방의 환자들은 통원치료를 위해 비용과 시간을 들여 서울을 오가는 현실이다. 무너지는 의료체계를 들여다보고 대안을 살펴봤다.

연봉 4억원의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해도 의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지방의료체계가 붕괴하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를 비롯한 노동·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지난 6일 필수·공공의료 지역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의대를 중심으로 한 의대정원 확대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스1
▶기사 게재 순서
①소아과·흉부외과 의사가 사라진다
②"아프면 서울로"… 지방의료원 의사 15% 부족
③의대 정원은 18년째 3058명… "매년 1000~1500명 늘려야"

강원 속초의료원은 연초 응급실 전문의 5명 중 3명이 퇴사하면서 지난달부터 응급실을 축소 운영하고 있다. 주 4일(목·금·토·일) 단축 운영되다 이달 들어 주 4일 정상운영, 3일은 주간 운영으로 바뀌었다. 응급실을 정상 운영하려면 의사를 충원해야 하지만 지원자도 없다. 속초의료원은 '연봉 4억원'이라는 파격 조건을 내세워 두 차례의 채용 절차를 통해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모집했으나 1명을 충원하는 데 그쳤다. 3차 모집에선 전공의(전문의 취득 전 수련의) 4년 수료자로 조건을 확대했지만 이마저도 필수 모집인원 수인 2명을 못 채웠고 네 번째 의사 모집 공고를 낼 계획이다.


지방 의료가 위기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원이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목포시)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지방의료원 35곳의 결원율은(결원 184명/정원 1266명) 2018년 7.6%에서 14.5%로 2배 이상 뛰었다. 결원율은 5년 새 최고 수준이다. 35곳 가운데 26곳(74.3%)이 의사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전남 강진의료원의 결원율은 33.3%로 가장 높았다.

4개 필수진료과(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를 모두 보유한 지방의료원은 23곳(65.7%)이었으며 흉부외과와 비뇨기과까지 기준을 6개로 확대하면 22.9%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필수의료 기피 현상이 늘면서 지방의료원 등 의료취약지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이 어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방의료원이 의사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면서 환자들은 다른 지역 또는 수도권 병원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뽑고 싶어도 지원하는 의사가 없다

지방의료원은 의사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전문의가 없어 진료가 불가능한 과목은 인근 대학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경남 산청보건의료원은 내과 전문의 모집을 위해 월급 3000만원을 제시하며 지난해 11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채용 공고를 냈지만 채용에 실패했다. 결원율이 높은 강진의료원은 신경외과 의사가 없어 인근 병원으로 환자를 전원시키고 있다. 충북 청주의료원은 신경과와 안과 전문의를 수년째 구하지 못해 장기 휴진 상태다.

지방의료원이 의사를 모집하지 못하면 폐과 순서를 밟아야 한다. 환자들에겐 다른 지역 국립대병원 또는 수도권 병원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이어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1년 발생한 전체 진료비 26조1035억원 중 지방에서 서울로 온 환자의 진료비는 9조6372억원으로 36.9%에 달했다.

경북 영양군, 강원 고성군, 강원 양양군 등 3곳은 거주민의 관내 의료기관 이용률이 30% 수준에 불과했다. 광주와 울산, 대전은 지방의료원이 없다. 신경계 질환 관련 환자 보호자 A씨는 "경북 영천에서 3시간 반을 고속버스를 타고 올라왔다"며 "큰 병원에서 진료를 보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들어 서울로 통원치료를 하고 있지만 한번에 10만원이 넘는 차비는 부담스럽다"고 토로했다.

연도별 지방의료원 의사 결원 현황. /인포그래픽=이강준 기자

의사 수도권 쏠림 현상, 어제오늘 일 아냐

지역별 의사 수 격차는 심해졌다. 의사들이 수도권으로 쏠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인구 10만명당 근무 의사 수는 서울이 305.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경북의 126.5명보다 2.4배 많은 수치다. 전체 의사의 30% 가까이 서울 지역에 몰려 있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당시 전담병원으로 지정됐던 지방의료원은 2년 넘게 외래와 수술을 중단하면서 이용 환자 수가 급감했다. 전국 지방의료원의 100병상당 외래 환자 수는 2019년 8만1340명에서 2021년 5만7149명으로 29.7% 감소했다. 2019년 85.5%에 달했던 병상 가동률 역시 2021년 59.7%로 뚝 떨어졌다. 지방의료원이 환자 수를 회복하려면 4년 이상 소요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자녀교육이나 생활환경이 수도권과 비교해 뒤처진다는 문제도 의사들이 지방의료원을 지원하지 않는 주요 배경이다. 다수의 지방의료원이 속초의료원처럼 파격적인 연봉 조건을 내세워 의사를 모집하고 있지만 모집에 난항을 겪는 점도 같은 맥락이다.

현재 지방의료원을 살릴 만한 뚜렷한 대안은 없는 상태다. 2020년 정부는 의대정원 확대, 지역의사제 도입을 통해 지방 의료 격차를 해소할 계획이었으나 대한의사협회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월 대한의사협회와 의료현안협의체를 구성하고 의료인력확충방안 논의를 시작했지만 뚜렷한 진척은 없었다.

정의당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간호와돌봄을바꾸는시민행동,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한국노총 의료노련은 지난 6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공의대 중심으로 의사를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지방 의료를 살리려면 사회적 논의체를 구성하고 국가가 주도하는 공공의대 설립과 의료 인력의 공급과 배치 등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의료원의 의사 결원율. /인포그래픽=이강준 기자


지용준 기자 jyjun@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글 [매일노동뉴스] 의료노련 “정책 역량 강화해 산업 이슈 선...
다음글 한국노총·민주당·정의당 “주 69시간 절대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