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련뉴스(News)

언론의 동향

  • HOME
  • 노련뉴스(News)
  • 언론의 동향
대법원 "탄력근로제, 2주 내라도 취업 규칙으로만 도입 가능"

관리자 │ 2023-05-15

제목 없음-1.png

HIT

653


 

2주 이내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근로자의 개별 동의가 아닌 취업 규칙을 통해서만 도입할 수 있다는 대법원의 첫 판단이 나왔습니다. 대법원 2부(주심 민유숙 대법관)는 청소용역업체 대표 A 씨의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를 무죄로 본 원심을 파기하고 지난달 27일 사건을 인천지법에 돌려보냈습니다. A 씨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직원 125명의 연장근로수당과 미사용 연차수당 총 5천200만 원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기소됐습니다. 그는 직원들과 개별적으로 맺은 근로계약서를 통해 2주 단위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했으므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노사 합의를 통해 특정 기간의 근무 시간을 연장하거나 단축함으로써 일정 기간 중 주 평균 근로 시간을 52시간 이내로 맞추는 제도입니다. 유연 근무제의 일종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단위 기간을 2주 내로 정할 때는 취업 규칙 또는 그에 준하는 것을 통해야 하고, 그 이상으로 정할 때는 근로자 대표와 서면 합의가 요구됩니다. 1심은 유죄, 2심은 무죄로 판단이 엇갈렸습니다. 2심은 직원들의 근로계약서가 근로 조건과 환경 등을 자세히 규정해 사실상 취업 규칙으로 볼 수 있다고 봤습니다. 대법원은 그러나 "2주 단위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법률에서 정한 방식인 취업 규칙에 의해서만 도입이 가능하고 근로계약이나 근로자의 개별적 동의를 통해 도입할 수 없다"며 유죄 취지로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근로자의 개별적 동의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할 수 있다면 취업 규칙의 불리한 변경에 대해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 등의 동의를 받도록 한 근로기준법 제94조 1항의 취지가 무색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취업규칙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 사건 근로계약서가 실질적으로 취업 규칙에 해당한다고 평가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대법원 관계자는 "2주 이내를 단위 기간으로 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개별 근로자가 동의하더라도 도입할 수 없고 취업규칙으로만 도입할 수 있다고 최초로 판단한 판결"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191334&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이전글 “밤 8시에 첫끼” 극한직업 간호사···“1인당 환자 수 5명...
다음글 대법원 “연장 합의 무관, 퇴직금 미지급은 유죄”